이 블로그 검색

미분적분학 II - 편미분

Partial derivatives (WIP)

Partial derivatives (WIP)

다변수함수

편미분에 대해 어쩌고 저쩌고 하기전에 일단 다변수함수가 무었인지 알아야 한다..

definition

이변수함수의 정의: 순서쌍 (x,y) 의 집합 D 를 정의역으로 하고, 임의의 (집합 D의 원소인) 순서쌍 (x,y) 에 대하여 이를 공역에 원소에 대응시키는 규칙을 이변수 함수라고 한다.

level curves the level curves of a function f is the set of (x,y) that satisfies the equation

f(x,y)=k level curve = {(x,y) | f(x,y)=k}

여기서 한단계 더 나아간다면? “레벨 서피스” 가 만들어 진다고 할수 있다.

레벨 서피스: 방정식 f(x,y,z) 에 대하여 {(x,y,z) | f(x,y,z)=k}


리미트와 연속성

이제부터는, 다변수 함수의 극한을 생각해야 한다.

definition of limit (multi-variable)

lim(x,y)(a,b) f(x,y)=L                  ϵ>0,δ>0 s.t. (xa)2+(yb)2<δ|f(x,y)L|<ϵ

이를 해석하는 방법은, (x,y)(a,b) 로 어떤 “길” 을 따라서 가든, 일정한 값에 가까워 져야함을 의미한다.

note: 우리는 입실론 델타를 이용해서 극한값을 구할수 없음을 안다 (입델은 극한값으로 의심되는 값을 컨펌하는 도구이지, 절대 극한값을 구하는 도구가 아니다!). 직관적으로, y=nxm 을 대입해 분석해 보자. 그리고 우리는 조임정리가 다변수 상황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안다, 극한값을 구할때 요긴하게 써먹도록 하자.

연속의 정의: 모든 (a,b)D 에 대하여 lim(x,y)(a,b) f(x,y)=f(a,b) 이면, 집합 D 에서 f 는 연속이다.

직관적으로, 단변수 상황에서의 수렴하는 극한의 성질은 대부분 동일하게 다변수 상황에서 성립한다.

편미분의 정의

“파셜” 미분의 정의는 “변수를 고정 (단변수화) 후 미분한것” 이다.

fx(x,y0)=limh0f(x+h,y0)f(x,y0)h

이때, f(x,y0)x 에 대한 함수임을 알수 있다 (단변수화!).

이때 편미분 노테이션으로는 fx=fx=Dxf=xf 가 있다.

이때 드는 생각이 있다, fx 가 존재하려면 f(x,y) 에서 연속이어야 하는가? 아니다! 위 식을 통해서 f(x,y0)x 에 대해서 연속하면 fx 가 존재함을 알수있다.


그리고 곱셈의 교환법칙에 따라 아래와 같은 생각을 할수 있는데,

yxf=?xyf 이는 클레로 정리의 결론이다.

클레로 정리

fxy,fyx가 전부 연속 fxy=fyx

(증명은 mvt로 꼼지락 거리기)


(중요!!!11!!!) 리니어라이제이션과 디프런셔블

일변수함수에서는 미분계수의 정의가 사실상 디프런셔블의 여부를 판단하는것이라 할수 있는데, 다변수로 간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differentiable” 함 = f(x+Δx,y+Δy)=f(x,y)+fx(x,y)Δx+fy(x,y)Δy+ϵ1(Δx,Δy)Δx+ϵ2(Δx,Δy)Δy 가 잘 표현되는가? (선형근사가 잘 되는가?) 라고 할수가 있다.

(단순하게 디프런셔블을 미분가능이라 부르기에는 에매하기에 디프런셔블이라고 부르도록 하겠다.)

이때 이변수 함수의 선형근사는 접평면이 나온다. (일변수 함수의 선형근사는 접선) 그럼 접평면의 식을 구하는 방법은 무었인가?

백터 r=(x,y,f(x,y)) 을 생각하자, 여기서 점 (x0,y0,f(x0,y0)) 에서의 접평면을 구하기 위해서는, rx(x0,y0)=(1,0,fx(x0,y0)),ry(x0,y0)=(0,1,fy(x0,y0)) 임을 알수있다. 이 백터가 만드는 평면의 노말 백터는 , rx×ry 이다. therefore, rx×ry=|ijk10fx01fy|=i|0fx1fy|j|1fx0fy|+k|1001|=i(0×fyfx)j(fy0×fx)+k(10)=ifxjfy+k=(fx,fy,1)

노말백터를 구했으니 평면의 식에 이를 대입하면, fxxfyy+z=0 이 나온다. 그러나 접평면은 (x0,y0,f(x0,y0)) 를 지나야 하므로, 평면을 평행이동하면 fx(xx0)fy(yy0)+(zf(x0,y0))=0 이 함수 f 의 선형근사 -접평면- 이다.

이때 함수의 선형근사 L 의 식을 찾으라는 문제에서는 위 식을 이항해서, L=fx(xx0)+fy(yy0)+f(x0,y0) 이라고 적으면 된다.


체인 룰

편미분을 fraction 처럼 표시하는 이유는 당연히 체인 룰 때문이라고 유추할수 있다.

Case1: 디프런셔블 함수 f(x,y) 를 생각하자, 이때, x=x(t),y=y(t) 를 대입한다면, f(t) 가 되므로 dfdt 를 구하고 싶어진다. 일일이 대입해 미분하는 방법도 있지만, 좀더 간편한 방법으로는 df(x(t),y(t))dt=fxdxdt+fydydt 해당 공식을 사용할수 있다.

(xt=dxdt 임을 이용해 기억하면 좀 더 편하다.)

Case 2: 디프런셔블 함수 f(x,y) 를 생각하자, 이때, x=x(u,v),y=y(u,v) 를 대입한다면, f(u,v) 가 되므로 fdu,fv 를 구하고 싶어진다. 일일이 대입해 미분하는 방법도 있지만, 좀더 간편한 방법으로는

f(x(u,v),y(u,v))u=fxxu+fyyu

조금만 생각해 보면 케이스 2는 케이스 1을 일반화한 것임을 알수있다.

체인룰: fu(x(u,v),y(u,v))=fx(x(u,v),y(u,v))xu(u,v)+fy(x(u,v),y(u,v))yu(u,v)

(x,yx(u,v),y(u,v) 대입)

음함수와 편미분

적당한 디프런셔블 함수 F(x,y) 가 있다 “방정식” F(x,y)=C 를 만족하는 순서쌍 (x,y) 를 plot 하면 y(x) 라는 음함수 관계가 나온다.

그렇다면 F(x,y(x))=C 라는 x 에 대한 항등식을 만족한다고 볼수 있는데, 항등식이니까 양변을 미분하고 싶어진다. 위의 체인룰을 사용하면. dF(x,y(x))dx=Fxxx+Fyy(x)x=Fx+Fydy(x)dx=dCdx=0 therefore Fx(x,y(x))+Fy(x,y(x))y(x)=0 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즉, dydx=Fx(x,y(x))Fy(x,y(x)) 를 얻는다! 같은 논리로 F(x,y,z)=C 의 음함수 미분도 구할수 있다.

(y(x),z(x),x(y),z(y) 등등 다양하게 볼수있다.)


방향미분

방향미분의 정의:Da,bf(x0,y0)=limh0f(x0+ah,y0+bh)f(x0,y0)h

이떄, a,b 은 백터이다.

이걸 어디에 써먹냐? (나도 몰라요) 일반적인 편미분은 x 또는 y “만” 변할때를 분석할수 있다. 하지만 방향미분은 백터 a,b 방향으로 (x,y) 가 동시에 변할때를 분석하는 도구가 된다.

그라디언트

f(x,y)=fx(x,y),fy(x,y)=ifx(x,y)+jfy(x,y) 즉 그라디언트 자체는 일단 편미분값이 존재하면 정의된다.

또한, 디프런셔블한 함수 f(x,y) 에 대하여 해당 성질이 성립한다.

Da,bf(x,y)=afx(x,y)+bfy(x,y)=f(x,y)a,b

즉! f is differentiableDa,bf(x,y)=f(x,y)a,b

by taking the contrapositive of the statement above, we obtain

Da,bf(x,y)f(x,y)a,bf is NOT differentiable

이 명제는 아주 강력한 명제인데, 선형근사가 가능한지가 아닌 방향미분과 그라드를 (정의에 충실하게) 구해 비교하는 것만으로 디프런셔블하지 않음을 증명할수 있다!

note: 즉 디프런셔블한 함수에 대해서 Dx,yf(a,b) 의 최대값은 (크기가 일정한 백터 x,y를 찾는거다), |x,y|×|f(a,b)| 이 되고, 이때 x,yf(a,b) 와 나란한 방향의 벡터이다. (코사인을 이용해 생각하면 자명하다!)

중요!!! Da,bf 는 스칼라, f 는 벡터다!!!!!!!


“음평면의 접평면”

레벨 서피스 S={(x,y,z) | F(x,y,z)=k} 를 생각하자, 이 서피스도 적당하게 디프런셔블 해서 접평면을 잘 만들수 있다면, 어떻게 해야 접평면을 구할수 있겠는가?

S 위의 곡선 r(t)=(x(t),y(t),z(t)) 를 생각하자, 이때 F(x0,y0,z0)=k 이고,

r(t0)=(x0,y0,z0) 라고 하자, 즉 우리는 레벨 서피스 위의 한 점을 지나는 S 위의 임의의 곡선 r(t) 를 생각하자는 거다.

S 위의 곡선이므로, F(x(t),y(t),z(t))=k 가 성립하므로, 양변을 t 에 대해 미분하면.(체인룰을 기억하자)

dF(x(t),y(t),z(t))dt=Fxdxdt+Fydydt+Fzdzdt=0 이다.

즉, x˙(t)Fx(x(t),y(t),z(t))+y˙(t)Fy(x(t),y(t),z(t))+z˙(t)Fz(x(t),y(t),z(t))=0

이를 그라디언트를 이용해 다시 식을 표현하면, Fr(t)˙=0 즉! 벡터 F,r˙(t) 는 서로 수직하다

이때 중요한 점은 임의의 곡선 r(t) 이므로, 이 곡선들을 전부 모으면 레벨 서피스 S 가 된다는 점이다.

즉! 레벨 서피스 S 의 노말 벡터는 F 이다! Pasted image 20250930140954.png

그렇기에 점 (x0,y0,z0) 에서 레벨 서피스 S 의 접평면은,

F(x0,y0,z0)xx0,yy0,zz0=0Fx(x0,y0,z0)(xx0)+Fy(x0,y0,z0)(yy0)+Fz(x0,y0,z0)(zz0)=0

양 surface z=F(x,y) 와 음 surface F(x,y,z)=k 의 차이를 알고 이 둘의 노말 벡터가 다름을 인지하자!


극점과 임계점

함수 f 의 임계점: f=0 or f=undefined

(극점의 후보 : 임계점) -> (최대최소의 후보: 극점)

이라는 관계가 성립한다고 할수 있다. Pasted image 20250930150328.png

이때 극점의 정의는 고등학생때 배우는 정의와 같다, 근방에서 가장 작으면 극소, 가장 크면 극대인 것이다. 그렇기에 최대,최소는 당연히 극점의 부분이다.

그렇기에 이러한 정리를 얻는데 최소=min({f(x,y) | f(x,y)=0,undefined,(x,y) 가 경계에 있음})최대=max({f(x,y) | f(x,y)=0,undefined,(x,y) 가 경계에 있음})

extrmeme value = 극값

critical value = 임계값

이때 할만한 생각으로는, 임계점이 극대,극소,안장 인지를 파악하는 방법은 없을까? 이다.

이때 할수있는 방법으로는 단변수 경우에 사용하는 이계도함수 판정법 처럼,

(a,b) 주변에서 이계도함수가 연속하고, f(a,b)=0 이면( (a,b) 가 임계점), D=|fxx(a,b)fxy(a,b)fxy(a,b)fyy(a,b)|

을 정의한다,.

이때. D>0, fxx(a,b)>0극소D>0, fxx(a,b)<0극대D<0극대,극소가 아니다 (안장점)

안장점은

장점이

아님 ㅋㅋ


라그랑주 승수법  Lagrange multiplier

그렇다면 또다른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구속조건” g(x,y,z)=k 를 만족하는 순서쌍 (x,y,z) 에 대하여 f(x,y,z) 의 최대최소는 어떻게 구하는가?

이 problem 은 라그랑지 승수법이 해결해 준다.

  1. f(x,y,z)=λg(x,y,z) , g(x,y,z)=0 를 동시에 만족하는 점 (x,y,z) 를 찾는다.

  2. 우리가 찾은 점들 (x,y,z) 를 다시 f 에 대입하여 (값을 비교해) 최대최소를 구한다.

처음 식으로 람다에 대해 (x,y,z) 가 표현되고, 그걸 구속조건에 대입해 람다를 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된다.

만약 구속조건이 g1(x,y,z,)=k1,g2(x,y,z)=k2 라면,

f=λg1+μg2

g1(x,y,z)=k1,g2(x,y,z)=k2

를 모두 만족하는 순서쌍 (x,y,z,) 를 찾으면 된다.

댓글 9개:

  1. 중요!! 부터는 먼지 모르겟네

    답글삭제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답글삭제
    답글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삭제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삭제
  3. 블로그 관리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

댓글도 $\displaystyle \LaTeX{} $ 를 지원합니다!
\$(latex code)\$ 로 수식을 입력하세요!